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선종'이라 쓰며 중립을 버린 언론

프란치스코 교황의 별세 소식이 전해지자, 국내 대부분의 언론은 ‘선종(善終)’이라는 용어를 사용해 그의 죽음을 보도했다. 이 표현은 경건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존경의 뜻을 담은 표현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그러나 이 용어의 사용이 과연 언론 보도의 중립성과 객관성이라는 원칙에 부합하는지는 재고할 필요가 있다.

‘선종’은 단순히 평온한 죽음을 의미하지 않는다. 가톨릭 교리에 따르면, 이 표현은 임종 직전 고해성사와 병자성사를 받고, 중대한 죄가 없는 상태에서 생을 마쳤다는 종교적 조건을 전제로 한다. 다시 말해, 이는 특정 종교적 절차를 충실히 이행하고 구원의 확신 속에서 죽음을 맞았다는 신앙적 해석이 담긴 용어다.

이와 같은 종교적 의미를 내포한 용어를 공공 매체가 아무런 설명 없이 사용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첫째, 언론이 사실을 전달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특정 종교의 교리를 독자에게 암묵적으로 전제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둘째, 이로 인해 언론이 종교적 해석을 객관적 사실처럼 포장하여 보도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이는 언론의 중립성과 보편성을 침해하는 행위다.

사망이라는 사건의 본질은 누구에게나 동일하다. 사회적으로 중요한 인물이라 하더라도 죽음 자체가 특별한 신성함을 갖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언론이 종교적 배경을 가진 용어를 사용하여 이를 미화하거나 상징화하는 것은 죽음이라는 사실적 사건에 종교적 가치를 덧씌우는 결과로 이어진다. 이러한 방식은 독자에게 편향된 해석을 전달할 수 있으며, 언론의 기본 책무인 사실 중심 보도와는 거리가 있다.

더욱이, 종교 공동체 내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공공 보도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구분되어야 한다. ‘선종’이라는 표현은 교회 내부에서는 자연스러운 용례일 수 있지만,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매체에서 이 용어를 맥락 없이 사용하는 것은 가톨릭 교회의 관점을 대변하는 것처럼 비칠 수 있다. 이 경우, 언론은 자의든 타의든 특정 종교의 입장을 대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언론이 교황이라는 인물에 대해 존경과 애도를 표하고자 하는 의도를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공공 언어는 종교적 확언에 기댈 수 없으며, 이는 세속 국가의 언론이 지켜야 할 원칙이다. 애도의 표현으로는 ‘서거’, ‘별세’ 등 종교적 색채를 띠지 않으면서도 품위 있는 대안이 존재한다. 이러한 표현들은 다양한 종교적 배경을 가진 국민 모두에게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점에서 더 적절하다.

결론적으로, 언론은 공적 보도를 수행할 때 특정 종교의 용어나 해석을 무비판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 이는 단지 언어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언론의 공정성과 독자에 대한 책임이라는 보다 근본적인 원칙에 관한 문제다. 언론이 그 역할을 충실히 하려면, 누구의 죽음 앞에서도 세속적 언어와 사실 중심의 보도 원칙을 견지해야 한다. 이것이야말로 공공 매체로서의 신뢰를 지키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