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에 발생한 인종청소 사건을 아십니까? 교황의 비겁한 처세술은 큰 비난을 받았습니다. 미얀마의 이슬람 소수 민족인 로힝야족은 미얀마 군부와 정부에 의해 조직적으로 탄압받았습니다. 이들은 주로 미얀마의 라카인 주에 거주하며, 미얀마 정부는 이들을 불법 이주민으로 간주해 시민권을 박탈하고, 사회적 및 정치적 권리를 부정해왔습니다. 이러한 배제와 차별은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되었지만, 2017년에 대규모 인권 침해가 발생했습니다.
2017년 8월, 로힝야 반군의 미얀마 경찰 초소 공격을 계기로 미얀마 군부는 로힝야족에 대한 대대적인 '소탕 작전'을 전개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수천 명의 로힝야족이 학살되고, 여성과 어린이가 성폭행당하며, 마을이 불타는 참혹한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유엔과 국제 사회는 이를 '인종 청소'로 규정하며 강력히 비난했습니다.
로힝야족은 다수 국민에게 적대적인 존재로 여겨졌고, 군부는 이를 정치적으로 활용해왔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웅산 수치 국가자문역 겸 외교장관이 취할 수 있는 행동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러나 프란치스코 교황은 미얀마 내 정치적 맥락이나 군부의 압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인물로서, 국제 사회에서 도덕적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7년 미얀마 방문 당시 교황은 로힝야족 문제를 회피하며 인권 침해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취하지 않았습니다.
교황의 침묵은 아웅산 수치와의 회담에서도 이어졌습니다. 교황이 수치와의 회담에서조차 로힝야족 문제를 언급하지 않자, 인권 단체들은 실망감을 표명하며 교황이 정치적 이유로 민감한 문제를 회피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들은 교황이 종교적 지도자로서 강력한 도덕적 입장을 취할 것을 기대했으나, 외교적 관계를 고려한 처세술로 인해 그의 침묵이 인권 문제에 대한 소극적 태도로 비춰졌다고 비판했습니다.
이러한 교황의 행동은 전 세계 인권 옹호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았습니다. 그가 도덕적 리더로서 인권 문제에 강력한 목소리를 내야 할 시점에서 정치적 실리를 선택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이는 가톨릭 교회의 도덕적 권위를 약화시키고, 교황의 평소 인권 보호에 대한 메시지와 모순된 행동으로 간주될 수밖에 없습니다.